인공신장실

인공신장실
  • 인공신장실
  • 질환안내
  • 자주하는질문

인공신장실 소개

정요양병원 인공신장실은 FMC5008S 혈액투석기를 구비하여 신장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신부전증 환자에게 최적의 투석환경을 제공하며, 외부 감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문의

051) 410-1600

이용시간

월~토 07:00 ~ 15:00

자원봉사의 특징

의료장비

역삼투(R/O)정수기 UWB-1000
POS-R/O UWB-1000은 식품의약품안정청(KFDA)으로부터 국내 최초로 허가를 취득한 혈액투석기 전용 정수기입니다.
혈액투석관리지침으로 활용되고 있는 AAMI(미국의료수질기준)에 적합하며, 보건복지부인정 국가공인 기관으로 부터 수질 규격을 인정받은 정수 장치입니다. 투석치료방법인 ON-LINE HDF,High-Flux 혈액투석에 있어 수질의 안정성이 가장 완벽하게 확보된 안전한 정수기 살균 system입니다. 정수탱크 및 신장실 배관 전체를 고온 살균함으로 환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세균이나 Endotoxin에 의한 2차 병변을 완벽하게 예방하고 특히 주기적인 소독으로 정수 공급관로내부의 화학물질 잔류위험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한 차원 높은 수질의 확보와 더불어 투석 환자들의 장기적으로 안전한 치료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

혈액투석기 FMC-5008S
FMC-5008S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혈액투석기입니다.
매우 안전하며 자가 기능이 투석 중에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정전 시에도 20분까지 작동됩니다.또한 투석효율이 매우 높으며 오차범위 1%이내로 정확하게 투석이 되며 OCM모니터링 기능이 있어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추어 투석효율을 한층 높여줍니다.또한 투석 시 요구되는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어 활용도가 더욱 높습니다.

투석요법의 선택

콩팥이 제 기능을 못할 정도로 나빠진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콩팥기능을 대신하는 방법의 치료를 말합니다. 최근에는 신장기능을 대신한다고 해서 신대체 요법이라고 부르며 크게 신장이식, 혈액투석, 복막투석 치료법이 있습니다. 콩팥이 정상적인 신체 대사를 못할 정도로 나쁜 만성신부전 환자는 몸의 수분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서 몸이 붓고 혈압이 상승하며 조혈 호르몬의 부족으로 빈혈이 발행하고 비타민의 대사에 장애가 생겨 뼈가 약해지며 체내 노폐물을 적절히 제거하지 못해 몸에 노폐물이 쌓이는 요독증으로 고통을 받게 됩니다. 좀 쉽게 얘기하면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돼야 할 물질이 몸의 혈액 속을 순환하여 오줌에 의한 독성 증상, 즉 요독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1. 혈액투석 치료
혈액 투석은 말기신부전증 환자에게 시행되는 신대체 요법의 하나로 투석기, 혈액과 인공적으로 만든 투석액(정상 혈장에 가까운 염류농도를 가진 삼투액)을 통과시키는 반투막의 물리적 물질이동 현상을 이용하여 피를 걸러주는 과정입니다. 이 특수한 반투과막은 인공신장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수백만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 막을 통해 노폐물과 과다한 물을 여과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2. 복막투석 치료
복막의 투과성을 만성신부전 환자의 치료에 이용하는 것입니다. 간혹 배에 복수가 찬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우리 몸에는 복막 사이의 공간에 적당량의 복수가 있어서 장의 운동을 도와주는데 복막에 병이 생기면 복수가 차게 됩니다. 이런 복수가 차는 공간을 이용하는것이 복막투석이며 국소마취로 수술을 하여 치료를 위한 카테터(도관)를 복강에 넣고 그 관의 일부분은 배 밖으로 노출됩니다. 이 관을 통해서 복막투석액 이라는 치료약을 복강에 넣어두면 요독 물질이 빠져나오며 약 6시간 뒤 이 치료액을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치료액(복막투석액)을 넣어줍니다. 이렇게 하루 4차례 교환하는 것이 복막 투석입니다.환자에 따라서 혈액투석을 할지 복막투석을 할지는 의료진과 의논해서 정할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방법

치료 시간은 1회 4시간, 주 3회로 일주일에 12시간 투석하는 것이 표준 혈액 투석이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시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1. 혈액투석의 장점
거주지나 근무지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인공 신장실(투석센터)이 있는 병원을 정하여 혈액 투석을 받을 수 있으며, 투석실이 있는 병원들 간에는 서로 협조가 잘 되고 있어서 상호의뢰가 가능합니다. 혈액 투석은 인공 신장실이 있는 병원에서 2~3 일에 한번씩 4~5시간씩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계속 병원을 방문하므로 투석 전문의와 전문 간호사의 집중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어서 감염의 합병증 빈도가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많은 인공신장실에서 야간 투석실을 운영하여 환자가 투석으로 인한 사회생활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고려하고 있습니다.
2. 혈액투석 중에 생기는 증세
정해진 시간에 급격하게 몸 안의 수분을 뺄 때 구토, 식은 땀이 나거나 혈압이 떨어지며 다리에 쥐가 날 수 있습니다. 이때는 혈액 이동 속도를 줄이면서 천천히 투석하게 되면 증상이 회복됩니다.
• 빈혈
• 신부전증에 의하여 조혈기능이 저하되어 혈구 생성이 적어 빈혈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빈혈을 방지하기 위해 수혈을 하거나 에리스포이에틴을 주사하고 철분제제를 복용하게 됩니다.
• 심혈관계 합병증
• 혈액 투석 환자의 사망 원인 중 심혈관계 합병증이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 설정하여 순환 혈액량 조절하고 고혈압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투석 중에 체중 증가에 주의하며 적절한 식이 요법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동정맥루 폐색
• 당뇨병 환자나 노인 환자, 인공 혈관을 넣은 환자의 동정맥루는 일반적으로 혈전에 의해 자주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막혔을 때는 방사선적 혈전 제거 및 혈관 확장이 우선이며, 막히면 빠른 시간 내에 시행하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습니다.”